풍류합주음원
풍류 이야기
공지사항
풍류지도
자유게시판
책 이야기
공지사항
등업게시판
지꿈말_꿈 이야기
동영상
풍류몰
한국어/KOR
로그인
회원가입
동영상
혼자서 합주하는
한국전통음악 플랫폼
홈 >
동영상
> 동영상 > 풍류
8
개의 게시물이 검색되었습니다.
전체
QR코드시창
해금 첫걸음
풍류
창작
추천영상
지금풍류사용법
8
풍류
지금풍류를 활용한 공연
2019 문화빅데이터 & 공공저작물 박람회에서 '지금풍류(art-atm.com)'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공연이 있었습니다. '지금풍류'를 통해 다른 국악기와 자연의 소리를 재생하면서, 연주자가 3D 프린팅 단소로 [새야새야]를 연주하고, 이어서 대금으로 영산회상 중 [타령]을 연주하였습니다. 이날 '제7회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시상식도 있었는데요. '지금풍류'는 지난 3년간의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 3D 프린팅 단소&대금 연주 : 이헌준 * 영상 편집 : 한기형 (유아이유)
7
풍류
천년만세 감상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천년만세(Cheonnyeonmanse) 감상편 01. 천년만세 영산회상 끝에 연주되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 도드리의 세 곡을 부르는 이름이다. 세 곡은 ‘느리고-빠르고-느린’ 속도의 변화가 있다. 원래 영산회상 모음곡에 해당하는 상령산부터 군악까지를 본풍류, 위 세 곡을 뒷풍류로 분류하며, 뒷풍류는 본풍류에 이어서 연주하기도 하지만 통상 별도의 악곡처럼 연주하기도 한다. 천년만세는 국립국악원 전승 영산회상의 뒷풍류에 별도로 붙여진 아명이다. This refers to the three pieces performed at the end of Yeongsanhoesang, that is, Gyemyeon Garak Dodeuri, Yangcheong Dodeuri, and Ujo Garak Dodeuri. They go slow, fast, and then slow again. The three pieces are originally called “Dwit Pungnyu” as opposed to “Bon Pungnyu” which is the main body of Yeongsanhoesang from Sangyeongsan to Gunak. Dwit Pungnyu is also performed as an independent piece. Cheonnyeonmanse is a nickname for the NGC’s version of Dwit Pungnyu. ㅇ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피리/김성진, 대금/김기엽, 단소/김휘곤, 해금/고수영, 가야금/강효진, 거문고/윤성혜, 양금/김형섭, 장구/홍석복 * 2009년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국립국악원이 공동 주관으로 각급학교(초중등)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 2010년 1월 19일부터 1월 31일까지 국립국악원 우면당과 예악당에서 15곡의 실연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해설을 추가하여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6
풍류
천년만세 해설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천년만세 해설편 01. 천년만세 영산회상 끝에 연주되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 도드리의 세 곡을 부르는 이름이다. 세 곡은 ‘느리고-빠르고-느린’ 속도의 변화가 있다. 원래 영산회상 모음곡에 해당하는 상령산부터 군악까지를 본풍류, 위 세 곡을 뒷풍류로 분류하며, 뒷풍류는 본풍류에 이어서 연주하기도 하지만 통상 별도의 악곡처럼 연주하기도 한다. 천년만세는 국립국악원 전승 영산회상의 뒷풍류에 별도로 붙여진 아명이다. This refers to the three pieces performed at the end of Yeongsanhoesang, that is, Gyemyeon Garak Dodeuri, Yangcheong Dodeuri, and Ujo Garak Dodeuri. They go slow, fast, and then slow again. The three pieces are originally called “Dwit Pungnyu” as opposed to “Bon Pungnyu” which is the main body of Yeongsanhoesang from Sangyeongsan to Gunak. Dwit Pungnyu is also performed as an independent piece. Cheonnyeonmanse is a nickname for the NGC’s version of Dwit Pungnyu. ㅇ 사회/정은아(방송인) ㅇ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피리/김성진, 대금/김기엽, 단소/김휘곤, 해금/고수영, 가야금/강효진, 거문고/윤성혜, 양금/김형섭, 장구/홍석복 * 2009년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국립국악원이 공동 주관으로 각급학교(초중등)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 2010년 1월 19일부터 1월 31일까지 국립국악원 우면당과 예악당에서 15곡의 실연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해설을 추가하여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5
풍류
영산회상 감상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영산회상(Yeongsanhoesang) 감상편 01. 영산회상 영산회상의 역사는 조선전기부터 확인되며, 민간의 기악곡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반부터이다. 오늘날에는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의 3가지로 전승되고 있다. 현악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의 9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악영산회상이나 평조회상은 이중 하현도드리를 뺀 8곡으로 모음곡처럼 구성되어 있다. 전곡을 이어서 연주하거나, 한 곡이나 몇 곡만 따로 떼어 연주하기도 하며, 합주나 독주 등 상황에 따라 자유로운 형식으로 연주가 가능하다. The history of Yeongsanhoesang goes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ut was not developed as popular instrumental music until the mid-17th century. There are three variations of Yeongsanhoesang today: String Yeongsanhoesang; Wind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String Yeongsanhoesang consists of nine movements, namely, Sangnyeongsan; Jungnyeongsan; Seryeongsan; Garakdeori; Samhyeon Dodeuri; Ha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and Gunak, but both Wind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have only eight of these, leaving out Hahyeon Dodeuri. The entire suites may be performed as a whole, but one or a few movements can be played alone, solo or ensemble. ㅇ 사회/정은아 ㅇ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음악구성·지도/김한승, 피리/고우석, 대금/문응관, 단소/김영헌, 해금/사현욱, 가야금/김윤희, 거문고/이방실, 양금/조유회, 장구/박거현 * 2009년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국립국악원이 공동 주관으로 각급학교(초중등)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 2010년 1월 19일부터 1월 31일까지 국립국악원 우면당과 예악당에서 15곡의 실연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해설을 추가하여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4
풍류
영산회상 해설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영산회상(Yeongsanhoesang) 해설편 01. 영산회상 영산회상의 역사는 조선전기부터 확인되며, 민간의 기악곡으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중반부터이다. 오늘날에는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의 3가지로 전승되고 있다. 현악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의 9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관악영산회상이나 평조회상은 이중 하현도드리를 뺀 8곡으로 모음곡처럼 구성되어 있다. 전곡을 이어서 연주하거나, 한 곡이나 몇 곡만 따로 떼어 연주하기도 하며, 합주나 독주 등 상황에 따라 자유로운 형식으로 연주가 가능하다. The history of Yeongsanhoesang goes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but was not developed as popular instrumental music until the mid-17th century. There are three variations of Yeongsanhoesang today: String Yeongsanhoesang; Wind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String Yeongsanhoesang consists of nine movements, namely, Sangnyeongsan; Jungnyeongsan; Seryeongsan; Garakdeori; Samhyeon Dodeuri; Hahyeon Dodeuri; Yeombul Dodeuri; Taryeong; and Gunak, but both Wind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have only eight of these, leaving out Hahyeon Dodeuri. The entire suites may be performed as a whole, but one or a few movements can be played alone, solo or ensemble. ㅇ 사회/정은아 ㅇ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음악구성·지도/김한승, 피리/고우석, 대금/문응관, 단소/김영헌, 해금/사현욱, 가야금/김윤희, 거문고/이방실, 양금/조유회, 장구/박거현 * 2009년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국립국악원이 공동 주관으로 각급학교(초중등) 음악 감상용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협약을 체결, 2010년 1월 19일부터 1월 31일까지 국립국악원 우면당과 예악당에서 15곡의 실연을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해설을 추가하여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3
풍류
정악풍류 영산회상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정악풍류 '영산회상' [2018.09.21] 01. 별곡 '도드리',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천년만세',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 피리/홍현우, 대금/김영헌, 해금/고수영, 가야금/고연정, 거문고/이방실, 단소/이승엽, 양금/조유회, 장구/홍석복 02. 평조회상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 집박/채조병 ○ 피리/고우석·윤형욱·김철·김성준·이종무·민지홍·김인기 ○ 대금/김상준·최성호·김기엽·박장원·김휘곤·이결·이오훈 ○ 해금/윤문숙·류은정·전은혜·사현욱·공경진·김용선·한갑수·이찬미 ○ 가야금/장경원·조유회·이종길·이유나·김윤희·강효진·정지영·이명하·김형섭 ○ 거문고/김미숙·채은선·윤성혜·이웅·박지현·객원3명 ○ 아쟁/김창곤·정계종, 소금/이종범, 장구/안성일, 좌고/정택수
2
풍류
뒷풍류(천년만세)
천년만세는 국립국악원 전승 영산회상의 뒷풍류에 별도로 붙여진 아명이다. 영산회상 끝에 연주되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의 세 곡을 부르는 이름이다. 세 곡은 ‘느리고-빠르고-느린’ 속도의 변화가 있다. 원래 영산회상 모음곡에 해당하는 상령산부터 군악까지를 본풍류, 위 세 곡을 뒷풍류로 분류하며, 뒷풍류는 본풍류에 이어서 연주하기도 하지만 통상 별도의 악곡처럼 연주하기도 한다. ○ 피리/윤형욱, 대금/김상준, 단소/김휘곤, 해금/황애자, 가야금/이유나, 거문고/채은선, 양금/조유회, 장구/홍석복
1
풍류
줄풍류 전곡 연주
01. 현악영산회상(00:00) ○ 거문고/김치자, 가야금/이종길, 양금/조유회, 단소/문응관, 대금/김상준, 피리/이건회, 해금/윤문숙, 장구/홍석복 02. 뒷풍류 (50:37) ○ 거문고/김치자, 가야금/이종길, 양금/조유회, 단소/문응관, 대금/김상준, 피리/이건회, 해금/윤문숙, 장구/홍석복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목록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